//1. 파일압축(해제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1) zip
- 압축하기
zip -rF (압축파일명).zip (압축할 폴더 또는 파일)
r: 서브 디렉터리 까지 압축
F: 한글 이름을 가진 파일까지 압축
zip filename.zip ./* #현재 폴더에 전부를 압축할때 "./*"는 현재 폴더 전부를 의미
zip -r filename.zip ./* #현재 폴더 하위에있는 폴더 포함하여 압축
- 압축 풀기
unzip filename.zip
unzip filename.zip -d /foldername/
2) tar
- 옵션
c: 압축
z: tar 압축후 gzip압축
v: verbose 압축과정을 출력
p: 소유권등 퍼미션을 그대로 유지
f: 내가 지정한 파일명으로 압축
- 압축하기
$ tar cf [압축파일명.tar] [압축할 파일 또는 디렉토리]
[root@localhost~]# tar cvf ksnet.tgz /ksnet/ #파일압축.
[root@localhost~]# tar czvpf filename.tar.gz public_html/ #tar.gz파일로 압축(퍼미션유지)
- 압축 풀기
$ tar xf [압축파일명.tar]
$ tar -xvf filename.tar -C /folder/dest_folder_name/ #지정된 위치에 압축풀기
[root@localhost~]# tar xzvpf filename.tar.gz -C public_html/ #public_html/에 권한을 유지하며 압축풀기
* tar 와 tar.gz 파일압축의 다른점 : 옵션에서 z 차이(z가 있으면 압축 없으면 묶음)
3) tar.gz
- 압축하기
$ tar zcf [압축파일명.tar.gz] [압축할 파일/디렉토리]
$ tar -czvf 압축파일명.tar.gz 압축할파일/폴더1 압축할파일/폴더2 압축할파일/폴더3 ...
$ tar -czvf images.tar.gz ./folder/a1.jpg ./folder/a2.jpg ./folder/a3.jpg
$ tar -czvf --exclude=./folder/filename.jpg tarname.tar.gz ./folder #예외 압축
- 압축 풀기
$ tar xfz [압축파일명.tar.gz]
$ tar -xzvf 압축되어있는파일명.tar.gz
$ tar -zxvf filename.tar.gz -C /folder/dest_folder_name/ #지정된 위치에 압축풀기
* 옵션 : 'z' 옵션이 gz 파일 압축 하기/풀기 옵션
4) tar.bz2(압축률이 가장높음)
- 압축하기
$ tar jcvf [압축파일명.tar.bz2] [압축할 파일/디렉토리]
- 압축 풀기
$ tar jxvf [압축파일명.tar.bz2]
$ tar -jxvf filename.tar.bz2 -C /folder/dest_folder_name/
$ tar jxvpf toolchain_160921.tar.bz2
* 옵션 : 'j' 옵션이 bz2 파일 압축 하기/풀기 옵션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//2. Linux 32bit or 64bit check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1) getconf LONG_BIT
→ 32 = 32bit
→ 64 = 64bit
2) arch
→ x86_64 = 64bit
→ i386 or i686 = 32bit (i386=old)
3) uname -m
→ x86_64 = 64bit
→ i386 or i686 = 32bit (i386=old)
4) echo $HOSTTYPE
→ x86_64 = 64bit
→ i386 or i686 = 32bit (i386=old)
5) lscpu
→ Architecture: i686 = 32bit
→ Architecture: x86_64 = 64bit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//3. scp 명령어 사용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scp [file] [계정@host:경로]
ex scp test.zip acount@domain.com:/home/acount/directory/
acount@domain.com's password:_ //계정비밀번호 입력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//4. 저장용량 확인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[root@localhost~]# df -h #기본값(df -k)은 KB단위로 출력 #df -h //MB단위로 출력
[root@localhost~]# du -sh /home/directoryname/ #디렉토리 사용량 확인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//5. symbolic link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[root@localhost~]# ln -s /home/directory/file symboliclinkfile //symbolic link create
[root@localhost~]# rm symboliclinkfile //sysbolic link remove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ross compiler 설치 후 (0) | 2020.08.27 |
---|---|
sudo 명령어 패스워드 없이 사용하기 (0) | 2019.12.30 |
자동 압축해제 스크립트 (0) | 2019.06.19 |
[Ubuntu] ShellPrompt 변경 (0) | 2019.06.07 |
[Ubuntu] unexpected operator 쉘스크립트 에러 (0) | 2019.06.05 |